본문 바로가기

심벌린

Cymbeline - Introduction 번역 CymbelineIntroduction – page 1565 E조 심벌린은 리어왕과 마찬가지로 기독교 이전의 전설적 시대로 설정되었다. 작품에 나오는 신들은 로마 신들이고 그 중 가장 높은 신인 주피터가 극에서 장엄한 환상 장면에 등장해서 주인공의 행복을 확증해준다. 신들은 미스테리하지만 결국엔 주인공들에게 유익을 주고 회개하는 남주인공과 인내한 여주인공은 어려운 고난을 극복하고 재결합 하게 된다.신들을 찬양하자. 복된 우리 제단에서 뭉게 연기가 피어올라서 신들의 코에까지 이르게 하자.이것은 극의 마지막 부분에서 왕이 한 축복이다. 심벌린은 1623년에 나온 folio의 마지막 책으로 출판되었다. 거기서 이 작품은 비극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당시 로맨스라는 장르가 없었기 때문이다. 다른 두 로맨스 극인 t.. 더보기
『겨울 이야기』, 『심벌린』, 『페리클레스』 세 작품의 비슷한 점과 특이성 『겨울 이야기』, 『심벌린』, 『페리클레스』 세 작품의 비슷한 점과 특이성 1. 로맨스 극의 전반적인 특징: 2. 『겨울 이야기』, 『심벌린』, 『페리클레스』 세 작품의 공통점: 3. 『겨울 이야기』, 『심벌린』, 『페리클레스』 세 작품의 특이성: 4. 참고문헌 1.로맨스 극의 전반적인 특징: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 『심벌린』, 『페리클레스』등은 소위 셰익스피어의 로맨스로 거론되는 후기 작품들이다. 1608년을 전후하여 쓰여진 이 작품들은 희극과 비극이 공존하는 희비극의 형식을 갖는다. 당대 희비극 양식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영향과 함께 셰익스피어의 로맨스 작품들은 비관주의 보다는 삶을 긍정적으로 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로맨스는 그의 희극의 주제였던 사랑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