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략경영론

부교재 4장 Summary 부교재 4장 Summary 사업조망 분석을 통한 정점에 오르는 것이 지속적인 성공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다. 시장에서 경쟁자들과의 상호작용은 불가피하며, 다양한 유형의 시장참가자들과 가지는 중요한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은 전략가의 중요한 업무이다. 이 장에서는 주로 직접적 경쟁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예상하고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는데 그러한 목적을 위해 개발된 두 가지 대표적 접근법인 게임이론과 경쟁자 프로파일링을 소개한다. 단순한 게임 게임이란이란 참가자들의 손익이 다른 참가자들의 선택에 의해 좌우되는 상호의존성을 서로 잘 인식하며 서로의 이익 최대화를 위해 행동할 때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지를 분석하는 접근법이다. 분석의 단계는 ①게임 참가자들을 정하는 것 ②두 참가자가 선택 가능한 행.. 더보기
Problem Set – 04장 1번 문제를 풀면, 평균 원가 = C(Q+ b/2c)2+(a+b/4c)2 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출 최적 규모는 A(Q)가 41/72(-b/2c)일 때가 되기 때문에, 최적 규모 A는 41/72이다. 2번 문제를 풀게되면, X단위 생산 평균시간의 공식을 이용해 풀게 되면 다음과 같다.1) 45X6-0.3219 = 25.28 시간2) 45X6-0.3219X6 = 45X60.6781 = 151.66 시간3) 45X5-0.3219 = 26.80 시간4) 45X5-0.3219+1 = 134.02 시간5) 45X60.6781-45X50.6781 = 17.64 시간 6) 45X60.6781-45X50.6781-45 = -27.36 시간 è 더 열위함 더보기
부교재 3장 Summary 부교재 3장 Summary 경쟁우위가 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왔고 이것이 수익성 매트릭스에 두 번째 결정요인으로 포함된 이유는 같은 산업이라 할지라도 기업간 성과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산업이 중요하지만 그것이 모든 성과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전략그룹”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되는 산업 내 구조는 성과차이를 설명해 주는 요인의 하나로써, 산업 내 수익성의 차이가 산업 간 수익성 차이보다 현저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산업적 요인을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경쟁포지션 분석을 위한 개념들- 1970년부터 학자들은 산업 내 기업들의 경쟁포지션 이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원가분석 : 1960년대 경험곡선 유행으로 원가분석에 관심이 쏟아.. 더보기
Problem Set – 03장 Problem Set – 03장 VRIO 모형이란 기업의 자원과 능력이 가질 수 있는 경쟁적인 잠재력을 가늠할 수 있는 네 가지 질문 단어의 약자로써 가치, 희소성, 모방가능성, 조직으로 구성되어있다. 1번 문제를 VRIO 모형을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다 Value Rarity Imitability Organization Result (a) O O O - 지속적 경쟁 우위 (b) O ? X - 임시적 경쟁 우위 OR 경쟁 등위 (c) O O X - 임시적 경쟁 우위 (d) O X X - 경쟁 등위 (e) O O ? O 임시적 OR 지속적 경쟁 우위 (f) O O ? - 임시적 OR 지속적 경쟁 우위 (g) O O O - 지속적 경쟁 우위 (h) O O X - 임시적 경쟁 우위 (i) ? X X - 경쟁 .. 더보기
부교재 2장 Summary 산업은 기업의 회계적,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사업조망은 각 전략적 선택들의 집합에 따라 수익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띈다. 전략의 핵심과제로써 주어진 사업조망에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지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인도하기 위해 어떠한 변화를 거쳤는지 이번장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수요-공급분석수요-공급분석은 사업환경 분석 연구의 기원으로써 중세 스콜라 학자들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가격결정 주장부터 시작한다. 19C후반 알프레드 마샬에 의해 현재 통상적인 수요-공급모델이 최초 제안되었다. 수요 공급모델이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균형점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마샬에 의해 제안된 후 경영대학 과목의 중요 주제로 부상했다. 1970~1980초까지 경제 불황이 발생하면서 수요공급모델이 실무에 영.. 더보기
Problem Set – 02장 Problem Set – 02장 다섯 가지 세력 모형이란 마이클 포터가 SPC모델의 단점 해결을 위해 SPC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업이 직면한 위험을 찾아낼 수 있게 개발한 모델로써, 기업이 직면하는 다섯 가지 위협 요인(진입자, 경쟁자, 구매자, 대체재, 공급자 의 위협)을 찾아 그 위협의 크기를 결정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이 다섯 가지 세력 모형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산업 내 좁은 범위의 환경에서의 가장 일반적인 위협의 원천들이 설명가능 하다는 점, 한 산업의 전반적인 위협 수준에 대한 설명에 이용 가능하다는 점, 어느 산업의 위협 수준과 그 산업에 속한 기업의 평균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있지만, 오직 한 산업 내 기업성과의 평균치 예측에만 사용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니며, 산업 요.. 더보기
Problem Set – 01장 Problem Set – 01장 기업의 사명이란 기업의 장기적인 목적으로써 기업사명Mission Statement 형식으로 명시되기도 하는 것으로써 기업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폭넓은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사명은 기업성과를 높이기도, 영향을 미치지 않기도, 해치기도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기업의 목표란 사명을 이루기 위해 활용하는 현실적이고 “측정 가능한”목표를 뜻한다. 1번 문제를 살펴보면 기업 사명을 위한 각각의 목표를 쓰라고 언급되어있는데 4가지 기업 사명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사명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측정 가능한” 목표를 제시해야한다. 또한 이와 연관되는 동일한 문제로써 2번 문제가 있는데 두 문제를 합쳐 하나로 답했다.(a) 현재 개발 진행 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