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 공급사슬관리 입문 Summary
개요
- 오늘날 기업 환경에서 성공적 경영위해 공급자와 고객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아야 함
- 수직통합기업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의 추구로 이동하는 협력적 접근방식은 사업의 성공적 영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되고 있으며 공급사슬관리의 중심이 되고 있음.
공급사슬관리 정의
- 공급사슬 = 생산, 납품, 자재, 부품 및 최종제품의 재활용, 그리고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여 궁극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 (역물류 포함)
- 공급사슬을 통한 진정한 이익의 원천은 최종소비자
- 공급사슬과 간접적 연관 회사 = 서비스 공급업체
why? 제품 적시배달, 구매자 판매자 효과적 연결,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
-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정의 = ‘공급관리협회’, ‘공급사슬협의회’, ‘공급사슬관리전문가협의회’
에 따라 다양
- But, 공급사슬 내 모든 조직이 지속적으로 경쟁력 우위 확보 위해 운영효율, 품질,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도록 공급사슬 관련 기업 간의 제품관련 활동을 통합하거나 조정하는 것은 어느 정의에나 동일함
- 이론상 공급사슬 내 모든 기업은 단일 경쟁단위로 활동하며, 자유시장조직과 함께 효과적으로 운영됨
- 성공적인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조건 = 공급사슬 내 모든 기업들의 조직문화적 변화 +
공급사슬 내 기업간의 높은 신뢰도, 협력과 협동,
정직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등
- 공급사슬의 범위 = 공급자의 공급자로부터 고객의 고객
공급사슬관리의 중요성
- 모든 공급사슬이 완벽하게 통합되거나 조정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님
- But, 공급사슬관리 전략을 활용하면 구매, 재고비용 및 운송비용을 상당히 절감가능
è 원가절감 + 고객서비스 개선 + 생산시간 단축 + 품질 개선
미국 내 공급사슬관리의 기원
- 1950~60년대 : 전통적 대량생산 = 공급자와의 파트너십 유지, 프로세스 설계와 유연성 및 제품품질 향상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진 반면,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량생산방식 채택을 통해 공정재고(WIP)에 많은 투자 이뤄짐
- 1960~70년대 : 재고관리 및 원가 절감 = 자재소요계획(MRP) 시스템과 제조자원계획(MRPⅡ) 시스템이 개발, 자재관리의 중요성이 강조 통해 재고비용 절감이 가능해짐
- 1980년대 : 공급사슬관리(1982) 탄생 = 질 높은 서비스와 저원가, 고품질 제품생산에 주력 적시생산시스템(JIT) 전사적품질경영시스템(TQM) 전략활용
- 1990년대 : 공급자 및 고객 협력 = 물류비, 재고비 증가, 시장의 글로벌화 경향 è 품질개선, 제조효율성, 고객서비스, 신제품 설계 및 개발과 관련한 도전도 증가 <낭비줄여 성과제고하는 재설계기법> -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BPR) 도입
à 공급사슬관리는 ①산업구매자의 관점에서 구매와 공급 관리 ②도,소매업자의 관점에서 운송과 물류 관리 를 따라 발전해옴
공급사슬관리의 주요 요소
-
공급사슬관리요소 |
주요 쟁점 |
해당 장 |
구매 |
공급자 감축, 공급자 제휴, 공급자관계관리, 전략적 발주, 환경발주, 공급자재고관리 |
2, 3, 4 |
생산 |
수요관리, 협력적 계획, 예측, 보충전략, 자재소요계획(MRP), 전사적자원관리(ERP), RFID, 린생산(적시생산시스템JIT<도요타생산>), 식스시그마, 전사적품질관리(TQM) |
5, 6, 7, 8 |
배송 |
수송관리(운송회사), 고객관계관리(고객서비스), 네트워크 설계 |
9, 10, 11 |
통합 |
공급사슬 구성기업 사이 조정/통합 활동, 글로벌 통합 문제, 성과측정 |
12, 13 |
공급사슬관리의 추세
- 변화에 따라 공급사슬이 유연성있게 대응하기 위하여 공급사슬의 우선순위 역시 변화되야 함
- 공급사슬 확장<11장> : 시장 성장에 따라 공급사슬 성장 (①외국으로 ②2차, 3차 포함<4장10장>)
- 공급사슬의 대응성 증가 : 고객대응성향상을 위해 공급사슬의 대응성 증가가 강조됨
고객에 대한 대응성을 제고하여 고객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문화의 상당한 변화뿐만 아니라 공급사슬을 통해서 전달되는 제품, 서비스 및 정보의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도 필요<6~10장>
- 공급사슬의 친환경화 : 공급사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중 환경친화적 공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è 기업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 è 재사용, 회수관리, 환경경영 시스템 활용 등 등장<4장, 9장>
- 공급사슬 비용절감 : 지속적인 공급사슬을 통한 비용절감 + 공급사슬비용절감 등이 이뤄짐
è 요약 : 공급사슬관리는 원자재 추출로부터 마지막 최종고객에 이르기까지의 중간가공, 운송, 저장활동, 그리고 최종고객에의 판매 등을 포함하는 주요 경영프로세스의 통합 이다. 오늘날 공급사슬관리는 경쟁력 제고의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많은 회사가 공급사슬통합의 이점을 이제 깨닫기 시작하였다. 공급사슬관리는 물류 및 구매 활동의 확장이며 1980년대 이래로 그 활용도가 크게 높아졌다. 공급사슬관리에서의 주요요소는 구매, 생산, 그리고 배송 분야이다. 시장, 기술, 경쟁 등의 변화에 따라 공급사슬관리 역시 변화해야 한다.
'과제 (Paper) > 물류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8장 – 프로세스관리: 공급사슬관리와 린생산 및 식스시그마 품질관리 Summary (0) | 2017.01.16 |
---|---|
제 7장 – 재고관리 Summary (0) | 2017.01.16 |
제 6장 – 자원계획 시스템 물류관리 (0) | 2017.01.16 |
제 5장 – 수요예측 Summary (0) | 2017.01.16 |
제2장 – 공급사슬관리의 공급관리 이슈 Summary (1) | 2017.01.15 |